본문 바로가기
도움되는 정보

국가지원 방문요양서비스, 가족요양제도

by MJ1234 2023. 4. 2.
반응형

 

 

우리 나라는 2000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고령화사회에 접어들었습니다.

국제연합 UN에서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로 정의합니다.

 

산업이 발달하며 생활환경이 크게 개선되었고 의학 또한 발전하면서 평균수명이 늘어난 결과입니다.

선진국일수록 고령인구가 증가했습니다.

 

65세 인구가 전체인구의 21% 이상이면 초고령사회에 속합니다.

우리나라는 2020년 기준으로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약 16%. 7500만명 이상으로 추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로 간다면 2060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40% 이상이 될 것이라고 예측되어 집니다.

전세계에서 초고령화 사회에 속하는 국가는 일본, 그리스, 이탈리아 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여러 노인문제가 발생되고 있는데 대표적인것이 빈곤과 질병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각종 사회정책과 복지제도 등으로 노인들의 생활에 직,간접적인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고 있는 방문요양서비스와 가족요양제도 입니다.

 

 

 

방문요양서비스

 

방문요양서비스는 노인성질환이 있는 65세 이상 어르신들을 위해 요양보호사가 직접 댁에 방문하는 것입니다.

노인성 질환에는 치매, 당뇨합병증, 관절염, 파킨슨, 허리디스크, 척추협착증 등이 있는데 이러한 질병에

해당하면 일상생활에 무척 어렵기 때문에 요양보호사가 집으로 직접 방문하여 식사, 병원동행, 청서 등의

보살핌을 제공합니다.

 

어르신들의 질환정도에 따라 등급이 나뉘고 해당 등급에 따라 요양서비스지원금이 매월 지급됩니다.

일정부분 자기부담금이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가족요양제도

 

가족요양제도는 부모님을 직접 돌보면서 국가의 지원을 받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이용하기 위해선 2가지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첫째, 자녀가 요양보호사 자격증이 있어야 한다.

둘째, 어르신이 장기요양 등급을 받아야 한다.

 

위의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매월 약 40~80만원 정도의 지원금을 받으며 

부모님을 직접 돌보아 드릴 수 있습니다. 

부모님을 다른 사람의 손에 맡기지 않고 내가 직접 돌볼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하지만 자녀가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외 제도

 

방문요양보호서비스나 가족요양제도 되에도 다른 돌봄 서비스가 있습니다.

바로 입주요양제도인데요.

요양보호사가 24시간 어르신의 댁에 상주하며 케어하는 것입니다.

 

주로 혼자 계시는 노인분들 중 노인성질환이 심해 보호자의 도움이 절실한 분들께 필요한 제도입니다.

요양보호사가 24시간 곁에서 상주하기 때문에 어르신들의 생활의 질과 환경이 좋아질 수 있습니다.

다만  24시간 케어이기 때문에 국가 지원금 외에 자부담금이 상당해 경제적 부담이 큰 것이 단점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