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지식 쌓기

기업의 펀더멘털 왜 중요할까?

by MJ1234 2023. 2. 20.
반응형

 

 

펀더멘털이란?

 

펀더멘털(Fundamentals)은 기초, 기본, 핵심을 뜻하는 말이다. 

이 단어는 분야에 따라 다르게 쓰인다.

경제학에서는 나라의 경제 상황, 상태를 뜻하고

주식시장에서는 한 기업의 재무건정성, 매출, 이익 등을 뜻한다.

 

주식관련 책을 읽고 있는 요즘에 이 단어를 자주 본다.

 

투자를 할 때는 '기업의 펀더멘털을 꼭 확인하라'는 문구가 자주 등장한다.

 

 

 

 

 

펀더멘탈이 좋은 기업에 장기투자를

 

내가 읽은 책의 저자는 주식은 길게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일명 치고 빠지고로는 주식시장에서 좋은 결과 보기가 여렵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민의 70~80%가 자산을 부동산에 묶어 놓는다고 한다.

이것은 물가상승률 대비 그리 현명한 투자가 아니라고 한다.

현금화가 어렵기도 하고 세금문제도 있고 말이다.

 

하지만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물론 좋은 회사 주식!) 

장기적으로 봤을때 가장 좋은 투자방법이라고 전한다.

 

우리나라에서 우량주로 평가받는 삼성전자를 예시로 들었는데

1989년 10월부터 월 30만원씩 30년간 주식을 매수했을때

2019년 1월 납입금액은 1억 830만원이고 

30만원이던 평가금액이 852,556만원이 된다는 것이다.

적립식 수익률이 무려 7,872% !!!!

 

매달 30만원이씩 30년 매수해서 85억이라니. 놀라운 금액이다.

물론 가장 장밋빛 예시를 든것이나

무척 매력적인 것임엔 틀림없다.

 

 

 

 

 

 

펀더멘털이 좋은 기업을 찾으려면

 

펀더멘털이 좋은 기업에 장기투자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그렇다면 펀더멘털이 좋은 기업을 어떻게 찾나?

 

공부를 해야 한다.

기업의 실적, 경쟁력, 성장 가능성, 세계의 정세, 경영진의 도덕성 등등을 분석해야 한다.

펀더멘털이 좋다는 평가받는 기업들은 이미 한 주의 가격이 어마어마하다.

보통 자본가지고는 도전하기 어렵다.

 

투자는 여윳돈으로 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래야 쫄리지(?) 않고 여유있게, 객관적이고도

이성적으로 나아갈 수 있다.

 

그렇기에 저평가된 우량종목을 찾아야 한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 2000여개의 회사 주식이

상장되어 있다고 한다.

 

우량주이지만 아직 덜 알려저 저평가된 기업의 주식들이 찾아보면 꽤 있다고 한다.

나의 노후를 책임져야 할 목돈을 만드는 만큼 

철저히 공부해서 신중해야 할것이다.

 

투자할 자금은 있지만 시간이 없어 직적 공부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투자회사를 잘 찾아야 한다.

나의 투자 가치관과 잘 맞아떨어지는 회사를.

 

 

 

기업의 펀더멘털이 튼튼한 회사를 찾아보자. 

튼튼하고 좋은 기업의 주식을 장기간 보유하는 것이 성공하는 투자자가 되는 확실한 방법이다.

 

 

아직 초보인 나는 재무재표 읽는것도 서툴러 연습중이다.

돈이 돈을 불리는 그 날까지 쭉쭉 나아가보자.

 

반응형

댓글